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대성이론
- NATO
- 한자
- 동아시아
- 부호화
- DART
- GridView
- constraint
- 고사성어
- jetpack compose
- 정규표현식
- 조지레이코프
- IntrinsicWidth
- swiftUI
- mixin
- 앨런튜링
- 영화
- 역사
- 튜링기계
- navigator
- 육서
- overlay
- 경황
- 제약
- 메이지유신
- 이미테이션게임
- 근대화
- 사자성어
- column
- Flutter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
인문주의 사피엔스
馬耳東風(마이동풍)은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에서 유래합니다.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혹은 “남의 의견에 귀기울이지 않고 흘려 버린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馬(말 마)는 말을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耳(귀 이)는 귀를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東(동녘 동)은 묶어 놓은 보따리를 그린 상형문자였는데 동쪽을 나타내는 뜻으로 가차되었습니다. 風(바람 풍)은 凡(무릇 범)과 虫(벌레 충)을 결합한 회의문자입니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 벌레가 많이 번식한다는 뜻을 결합한 것입니다. 牛耳讀經(우이독경)은 “쇠귀에 경 읽기” 혹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 듣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牛(소 우)는 소의 머리를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耳(귀 이)는 귀를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讀(읽을 독)은 言(말..
捲土重來(권토중래)는 당나라의 시인 杜牧(두목)이 진나라 말기의 장수인 項羽(항우)를 생각하며 지은 題烏江亭詩(제오강정시)의 한 구절에서 유래합니다. 捲土重來는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온다’로 직역됩니다. 의역하면 ‘한 번의 실패에 굴하지 않고 몇 번이고 다시 일어난다’라는 뜻으로서 어떤 일에 실패한 뒤 힘을 길러 다시 그 일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捲(말/거둘 권)은 재방변 부수 扌(손 수)를 뜻으로 삼고 卷(책 권)의 소리를 취한 형성문자입니다. 捲의 의미에는 말다, 거두다, 힘쓰다, 돌돌 감다, 주먹 등이 있습니다. 捲이 포함된 단어에는 '무거운 짐을 움직이거나 끌어올리는 데 쓰는 기계'를 의미하는 捲揚機(권양기)와 '철사, 코일, 밧줄 따위를 감거나 푸는 기계'를 의미하는 捲線機(권선기) 등..
베네딕트 컴버배치(Benedict Cumberbatch)와 키이라 나이틀리(Keira Knightley)가 주연을 맡고 모튼 틸덤(Morten Tyldum) 감독이 연출하여 2014년에 공개한 영화 은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 논리학자, 철학자, 암호 해독 전문가였던 앨런 튜링(Alan Turing, 1912-1954)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의 암호 기계 ‘에니그마(Enigma)’의 암호를 해독하여 연합군의 승리에 공헌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입니다. 그러나 정작 영화의 제목인 에 대한 내용은 중간에 잠깐 언급될 뿐이고 영화의 대부분은 앨런 튜링과 팀원들이 에니그마 해독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미테이션 게임’은 1950년에 앨런 튜링이 제안한 뒤 지금은 ‘튜링 테스트’로 불..
싱가포르 - 新加坡(신가파) 싱가포르의 정식 명칭은 입니다. 한자어로는 영어로는 입니다. 싱가포르는 말레이어 Singapura가 영어화된 이름입니다. Singapura는 ‘사자 도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Siṃhapura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싱가포르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新加坡(신가파)입니다. 新(새 신)은 斤(도끼 근), 辛(매울 신), 木(나무 목)이 합쳐진 회의문자로서 처음엔 ‘나무를 잘라 땔감을 만든다’라는 뜻이었다가 나무를 다듬어 ‘새로운 물건을 만든다’라는 뜻으로 바뀌고 ‘새롭다’라는 뜻으로 바뀌었습니다. 加(더할 가)는 力(힘 력)과 口(입 구)가 결합한 회의문자입니다. 농기구를 그린 글자로서 ‘힘쓰다’라는 뜻이 있는 力에 口를 결합해 농민들의 노고를 ‘칭찬하다’, ‘격려한다’라는 뜻이었는데..